이우의 개발일지
[프로그래머스 / C++] Lv. 2 요격시스템 문제 풀이 및 코드 본문
프로그래머스 요격시스템 문제
A 나라가 B 나라를 침공하였습니다. B 나라의 대부분의 전략 자원은 아이기스 군사 기지에 집중되어 있기 때문에 A 나라는 B 나라의 아이기스 군사 기지에 융단폭격을 가했습니다.
A 나라의 공격에 대항하여 아이기스 군사 기지에서는 무수히 쏟아지는 폭격 미사일들을 요격하려고 합니다. 이곳에는 백발백중을 자랑하는 요격 시스템이 있지만 운용 비용이 상당하기 때문에 미사일을 최소로 사용해서 모든 폭격 미사일을 요격하려 합니다.
A 나라와 B 나라가 싸우고 있는 이 세계는 2 차원 공간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A 나라가 발사한 폭격 미사일은 x 축에 평행한 직선 형태의 모양이며 개구간을 나타내는 정수 쌍 (s, e) 형태로 표현됩니다. B 나라는 특정 x 좌표에서 y 축에 수평이 되도록 미사일을 발사하며, 발사된 미사일은 해당 x 좌표에 걸쳐있는 모든 폭격 미사일을 관통하여 한 번에 요격할 수 있습니다. 단, 개구간 (s, e)로 표현되는 폭격 미사일은 s와 e에서 발사하는 요격 미사일로는 요격할 수 없습니다. 요격 미사일은 실수인 x 좌표에서도 발사할 수 있습니다.
각 폭격 미사일의 x 좌표 범위 목록 targets이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모든 폭격 미사일을 요격하기 위해 필요한 요격 미사일 수의 최솟값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
제한 사항
- 1 ≤ targets의 길이 ≤ 500,000
- targets의 각 행은 [s,e] 형태입니다.
- 이는 한 폭격 미사일의 x 좌표 범위를 나타내며, 개구간 (s, e)에서 요격해야 합니다.
- 0 ≤ s < e ≤ 100,000,000
입출력 예
요격시스템 문제 풀이
요격시스템은 구현 문제로, 조건을 잘 알아야한다.
문제 포인트
- 미사일의 범위 (s,e) 가 주어진다. 이때, 요격시스템은 s와 e 범위 중 한 점만 지나면 요격이 된다.
(단, s와 e를 요격점으로 지정하지 못함)
- 요격점을 최소 갯수로 잡아 모든 미사일을 요격할 수 있는 개수를 구해라.
문제 예제
[4,5],[4,8],[10,14],[11,13],[5,12],[3,7],[1,4] 라고 주어졌을 때, 요격문제의 핵심은 미사일 범위의 끝 점이 더 중요하다는 것이다.
그래서, 끝점을 기준으로 Sort를 하면 다음과 같이 나온다. [1,4], [4,5], [3,7], [4,8], [5,12], [11,13], [10,14]
[4,5],[4,8],[10,14],[11,13],[5,12],[3,7],[1,4] → [1,4], [4,5], [3,7], [4,8], [5,12], [11,13], [10,14]
이렇게 정렬을 하면 현재 타겟인 미사일의 끝점과 다음 미사일의 시작점을 비교하면 된다.
예를 들어 현재 [1,4] 미사일이 타겟이면 다음 미사일 [4,5]를 비교한다. 이때 타겟 미사일의 끝점 4와 다음 미사일의 시작점 4를 비교했을 때 같다. ( 문제 포인트에서 말했다시피 s와 e는 요격점으로 지정 못함) 따라서, 둘은 같이 요격할 수 없으니 현재 타겟인 미사일을 바로 요격해버린다.
이제 타겟 미사일은 [4,5]로 잡는다. 타겟 미사일의 끝점이 5이고, 다음 미사일의 시작점이 3이다. 끝점이 더 크니, 다음 미사일을 패스하고 다다음 미사일을 확인한다. [4,8]을 확인했을 때 5가 4보다 크니 이 미사일 역시 한번에 요격이 가능하다. 다다다음 미사일을 비교해보면 [5,12]인데 이 미사일의 시작 지점 5는 타겟미사일의 끝점과 같으니 같이 요격을 못한다. 따라서 타겟 미사일 포함 3개 미사일을 요격하고 타겟 미사일을 [5,12]로 바꿔주면 된다.
요격시스템 전체 코드
#include <string>
#include <vector>
#include <iostream>
#include <algorithm>
using namespace std;
bool cmp(vector<int> &v1, vector<int> &v2) {
if (v1[1] == v2[1])
return v1[0] < v2[0];
else return v1[1] < v2[1];
}
int solution(vector<vector<int>> targets) {
sort(targets.begin(), targets.end(), cmp);
int count = 1;
int e = 0;
for(int i = 1; i< targets.size(); i++){
if(targets[e][1] > targets[i][0]) {
continue;
}
else{
e = i;
count ++;
}
}
cout << count;
return count;
}
'Cod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그래머스 / C++] 혼자 놀기의 달인 Lv.1 (0) | 2025.02.18 |
---|---|
[프로그래머스 / C++] 2024 kakao winter internship 문제 -도넛과 막대 그래프 (1) | 2025.02.13 |
[백준 / C++] 13549 숨박꼭질 (3) - (1) (0) | 2025.01.23 |
[백준 / C++] 11404 플로이드 - (1) '플로이드-워셜 알고리즘에 대해' (0) | 2025.01.22 |
[백준 / C++] 2206번 벽 부수고 이동하기 - (1) , BFS (0) | 2025.0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