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우의 개발일지
[백준 / C++ ] 15683번 감시 /시뮬레이션 문제 본문
감시
1 초 | 512 MB | 59372 | 28812 | 17667 | 45.466% |
문제
스타트링크의 사무실은 1×1크기의 정사각형으로 나누어져 있는 N×M 크기의 직사각형으로 나타낼 수 있다. 사무실에는 총 K개의 CCTV가 설치되어져 있는데, CCTV는 5가지 종류가 있다. 각 CCTV가 감시할 수 있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1번 | 2번 | 3번 | 4번 | 5번 |
1번 CCTV는 한 쪽 방향만 감시할 수 있다. 2번과 3번은 두 방향을 감시할 수 있는데, 2번은 감시하는 방향이 서로 반대방향이어야 하고, 3번은 직각 방향이어야 한다. 4번은 세 방향, 5번은 네 방향을 감시할 수 있다.
CCTV는 감시할 수 있는 방향에 있는 칸 전체를 감시할 수 있다. 사무실에는 벽이 있는데, CCTV는 벽을 통과할 수 없다. CCTV가 감시할 수 없는 영역은 사각지대라고 한다.
CCTV는 회전시킬 수 있는데, 회전은 항상 90도 방향으로 해야 하며, 감시하려고 하는 방향이 가로 또는 세로 방향이어야 한다.
0 0 0 0 0 0
0 0 0 0 0 0
0 0 1 0 6 0
0 0 0 0 0 0
지도에서 0은 빈 칸, 6은 벽, 1~5는 CCTV의 번호이다. 위의 예시에서 1번의 방향에 따라 감시할 수 있는 영역을 '#'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다.
→ | ← | ↑ | ↓ |
CCTV는 벽을 통과할 수 없기 때문에, 1번이 → 방향을 감시하고 있을 때는 6의 오른쪽에 있는 칸을 감시할 수 없다.
0 0 0 0 0 0
0 2 0 0 0 0
0 0 0 0 6 0
0 6 0 0 2 0
0 0 0 0 0 0
0 0 0 0 0 5
위의 예시에서 감시할 수 있는 방향을 알아보면 아래와 같다.
왼쪽 상단 2: ↔, 오른쪽 하단 2: ↔ | 왼쪽 상단 2: ↔, 오른쪽 하단 2: ↕ | 왼쪽 상단 2: ↕, 오른쪽 하단 2: ↔ | 왼쪽 상단 2: ↕, 오른쪽 하단 2: ↕ |
CCTV는 CCTV를 통과할 수 있다. 아래 예시를 보자.
0 0 2 0 3
0 6 0 0 0
0 0 6 6 0
0 0 0 0 0
위와 같은 경우에 2의 방향이 ↕ 3의 방향이 ←와 ↓인 경우 감시받는 영역은 다음과 같다.
# # 2 # 3
0 6 # 0 #
0 0 6 6 #
0 0 0 0 #
사무실의 크기와 상태, 그리고 CCTV의 정보가 주어졌을 때, CCTV의 방향을 적절히 정해서, 사각 지대의 최소 크기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사무실의 세로 크기 N과 가로 크기 M이 주어진다. (1 ≤ N, M ≤ 8)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사무실 각 칸의 정보가 주어진다. 0은 빈 칸, 6은 벽, 1~5는 CCTV를 나타내고, 문제에서 설명한 CCTV의 종류이다.
CCTV의 최대 개수는 8개를 넘지 않는다.
출력
첫째 줄에 사각 지대의 최소 크기를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복사
4 6
0 0 0 0 0 0
0 0 0 0 0 0
0 0 1 0 6 0
0 0 0 0 0 0
예제 출력 1 복사
20
예제 입력 2 복사
6 6
0 0 0 0 0 0
0 2 0 0 0 0
0 0 0 0 6 0
0 6 0 0 2 0
0 0 0 0 0 0
0 0 0 0 0 5
예제 출력 2 복사
15
예제 입력 3 복사
6 6
1 0 0 0 0 0
0 1 0 0 0 0
0 0 1 0 0 0
0 0 0 1 0 0
0 0 0 0 1 0
0 0 0 0 0 1
예제 출력 3 복사
6
백준 감시 문제 풀이
( ※ 바킹덕 선생님의 풀이를 참고했습니다 )
중요한 점.
- CCTV가 볼 수 있는 방향이 최대 4개 (동, 서, 남, 북)이기 때문에 4의 cctv 개수 승 하면 총 경우 (만약 cctv 개수가 3개라고 하면 64가지 경우의 수가 존재) , 총 모드가 4가지이기 때문에 총개수를 4진법으로 나타내서 4가지 모드 중 하나를 하도록 설정.
이렇게 현재 번호를 4진법으로 바꾼 것을 모드에 대입하면 됨.
int dx[4] = {1,0,-1,0};
int dy[4] = {0,1,0,-1}; // 남쪽, 동쪽, 북쪽, 서쪽 순서
// (x,y)에서 dir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벽을 만날 때 까지 지나치는 모든 빈칸을 7로 바꿔버림
void upd(int x, int y, int dir){
dir %= 4;
while(1){
x += dx[dir];
y += dy[dir];
if(OOB(x,y) || board2[x][y] == 6) return; // 범위를 벗어났거나 벽을 만나면 함수를 탈출
if(board2[x][y] != 0) continue; // 해당 칸이 빈칸이 아닐 경우(=cctv가 있을 경우) 넘어감
board2[x][y] = 7; // 빈칸을 7로 덮음
}
}
위 코드처럼 들어오는 dir에 따라 현재 보드에서 갈 수 있는 길을 7로 표시.
여기서 한가지 포인트는 함수 upd가 시작될 때 dir %= 4를 해주는 구간은 main 문에 아래처럼 어떤 dir에 +를 해줘도 항상 dir이 4미만이 되게 유지해주는 트리거!
또한 while 문 안에 x += dx[dir] , y += dy[dir] 이렇게 써있는데, 이게 모든 카메라 경우에 다 적용이 되서 정말 편하게 쓸 수 있음!
else{ // board1[x][y] == 5
upd(x,y,dir);
upd(x,y,dir+1);
upd(x,y,dir+2);
upd(x,y,dir+3);
}
결론
- 4진법을 써서, 카메라 모든 경우의 수를 파악한게 한 것은 신의 한수...ㅋㅋ (어떻ㄱ ㅔ 생각하냐...)
- 그리고, 탐사하는 upd 함수 안에 깔끔하게 여러 가지 경우를 담을 수 있게 만든 것이 배울 점
(※ 주의할 점은 dx, dy 배열 설정 안에서 1,0,-1 순서 잘 배치해야한다. 이것이 동서남북이 되기 때문)
15683 감시 전체 코드
#include <iostream>
#include <vector>
#include <cmath>
using namespace std;
int n, m;
int num[9][9] = { 0, };
int rep[9][9] = { 0, };
int dx[4] = { 1, 0, -1, 0 };
int dy[4] = { 0, 1, 0, -1 };
vector<pair<int, int>> cctv;
bool check(int x, int y) {
if (x > n || y > m || x <= 0 || y <= 0) return true;
else return false;
}
void udp(int x, int y, int mode) {
mode %= 4;
int XX = x;
int YY = y;
while (1) {
XX += dx[mode];
YY += dy[mode];
if (check(XX, YY) || rep[XX][YY] == 6) return;
else {
if(rep[XX][YY] == 0) rep[XX][YY] = 7;
}
}
}
int main() {
cin >> n >> m;
int mini = 0;
for (int i = 1; i <= n; i++) {
for (int j = 1; j <= m; j++) {
cin >> num[i][j];
if (num[i][j] != 0 && num[i][j] != 6) {
cctv.push_back({ i,j });
}
if (num[i][j] == 0) mini++;
}
}
for (int i = 0; i <1<<(2*cctv.size()); i++) {
int tmp = i;
int result = 0;
for (int i = 1; i <= n; i++) {
for (int j = 1; j <= m; j++) {
rep[i][j] = num[i][j];
}
}
for (int j = 0; j < cctv.size(); j++) {
int x = cctv[j].first;
int y = cctv[j].second;
int dir = tmp % 4;
tmp /= 4;
if (rep[x][y] == 1) {
udp(x, y, dir);
}
else if (rep[x][y] == 2) {
udp(x, y, dir);
udp(x, y, dir + 2);
}
else if (rep[x][y] == 3) {
udp(x, y, dir);
udp(x, y, dir + 1);
}
else if (rep[x][y] == 4) {
udp(x, y, dir);
udp(x, y, dir + 1);
udp(x, y, dir + 2);
}
else if (rep[x][y] == 5) {
udp(x, y, dir);
udp(x, y, dir + 1);
udp(x, y, dir + 2);
udp(x, y, dir + 3);
}
}
for (int i = 1; i <= n; i++) {
for (int j = 1; j <= m; j++) {
if (rep[i][j] == 0) result++;
}
}
mini = min(mini, result);
}
cout << mini;
}
'Cod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그래머스 / C++] 혼자 놀기의 달인 Lv.1 (0) | 2025.02.18 |
---|---|
[프로그래머스 / C++] 2024 kakao winter internship 문제 -도넛과 막대 그래프 (1) | 2025.02.13 |
[프로그래머스 / C++] Lv. 2 요격시스템 문제 풀이 및 코드 (0) | 2025.02.06 |
[백준 / C++] 13549 숨박꼭질 (3) - (1) (0) | 2025.01.23 |
[백준 / C++] 11404 플로이드 - (1) '플로이드-워셜 알고리즘에 대해' (0) | 2025.01.22 |